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E-NEWLETTER 2025 1분기 March 2025

대한소화기학회 교육위원회에서 보내드리는 교육자료

큰 크기의 비유경성 대장직장용종의 저온 대 고온 내시경 절제술: 무작위 대조 독일 CHRONICLE 시험


한림대학교 강남성심병원 오창교


큰 크기의 비유경성 대장직장용종의 저온 대 고온 내시경 절제술: 무작위 대조 독일 CHRONICLE 시험
Cold Versus Hot Snare Endoscopic Resection of Large Nonpedunculated Colorectal Polyps: Randomized Controlled German CHRONICLE Trial

서구에서는 주로 20 mm 이상의 대장직장용종의 경우 분할 내시경 점막절제술(piecemeal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EMR)을 이용하여 제거하지만, 이러한 분할절제는 첫 추적 대장내시경검사에서 재발 잔존 병변이 15-40% 로 비교적 높게 발견됩니다. 게다가 큰 크기의 용종 절제 시 분할 내시경 점막절제술은 천공, 관련시술후 출혈, 용종절제후 증후군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작은 크기의 용종에서 표준치료로 확립된 저온절제술은 여러 연구에서 이러한 부작용을 낮출 수 있음을 보고하였습니다. 이에 본 연구는 20 mm 이상 크기의 대장직장 용종에 대해 저온절제술과 고온절제술의 무작위 연구를 시행하였습니다.

1. 본 연구는 2021년 6월부터 2023년 7월 기간에 독일의 19개 3차 의료 의뢰 센터에서 시행되었습니다. 내시경적 치료의 적응이 되는 20 mm 이상의 대장직장의 비유경성 용종(non-pedunculated colorectal polyp)을 1:1 무작위로 배정하였습니다. 1차 결과는 주요 AE (adverse event; 천공 또는 출혈)이였으며 2차 결과는 천공, 출혈, 용종절제후 증후군 및 잔류 및 재발 신생물이었습니다.
2. 363명의 환자에서 396례의 적격 용종에 대해 Cold Snare EMR군(193례)과 Hot snare EMR 군(203례)으로 무작위 배정되었습니다. Cold Snare EMR 군에서는 2명 (1.0%)에서 주요 AE가 발생하였고, Hot snare EMR 군에서는 16명(7.9%)에서 주요 AE가 발생하였습니다 (p=0.001). 주요 AE에 대한 하위범주 분석에서는 Cold Snare EMR 군에서는 천공률이 0명 (0%) 였으며 Hot Snare EMR 에서는 8명 (3.9%)였습니다 (p=0.007). 시술 후 출혈률은 Cold Snare EMR 군에서 2명 (1.0%) 였으며 Hot Snare EMR에서는 9명 (4.4%) 였습니다 (p=0.040). 용종절제후 증후군의 비율은 Cold Snare EMR에서 6명 (3.1%), Hot Snare EMR에서 9명 (4.4%)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습니다. (p=0.490)
3. 잔류 및 재발 신생물에 대한 결과는 351건 (88.6%)에서 얻을 수 있었으며 내시경 추적검사 346건, 수술적 절제 후 5건의 검체에서 결과를 확인하였습니다. Cold Snare EMR 후 42명 (23.7%), Hot Snare EMR에서 24명 (13.8%) 였습니다 (p=0.020). 내시경으로 진단된 잔류 및 재발 신생물 중 96.8%가 내시경 절제술을 통해 재 치료되었습니다.
4. 본 연구에서는 주요 결과의 수가 적고 내시경 검사자에게 할당에 대한 정보를 공개하지 않는 등의 제한점이 있었습니다.

결론적으로, 이번 연구에서는 Cold Snare EMR이 Hot Snare EMR과 비교하여 주요 AE를 상당히 낮아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으나 높은 잔류 및 재발 신생물의 비율이 확인되었습니다. Cold Snare EMR은 우수한 안전성을 바탕으로 일부 SSL (sessile serrated lesion)이나 크기가 너무 크지 않고 advanced histology가 없는 대형 대장직장 용종에 대해 선택적인 치료 옵션으로 고려해 볼 수 있어 보이나 적합한 병변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합니다.

논문 바로가기 ▶

중증 급성췌장염의 발생과 회복에 대한 Parecoxib–Imrecoxib 연속 투여의 효과:
다기관, 이중맹검, 무작위배정, 위약대조 연구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소화기내과 최영훈


중증 급성췌장염의 발생과 회복에 대한 Parecoxib–Imrecoxib 연속 투여의 효과: 다기관, 이중맹검, 무작위배정, 위약대조 연구
Parecoxib sequential with imrecoxib for occurrence and remission of severe acute pancreatitis: a multicentre, double-blind, randomised, placebo-controlled trial

중증 급성췌장염(severe acute pancreatitis, SAP)은 48시간 이상의 지속적인 장기부전(organ failure) 또는 감염성 췌장괴사로 정의되며, 20~40%의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 치명적 질환입니다. 현재 SAP에 대한 효과적인 약물 치료법은 존재하지 않으며, 주로 수액 공급, 통증 조절, 영양 지원과 같은 대증요법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SAP의 중요한 병태생리 기전은 과도한 염증 반응과 전신 염증 반응 증후군(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 SIRS)에 의해 장기 손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염증 반응을 조절할 수 있는 치료법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습니다. Cyclooxygenase-2(COX-2)는 프로스타글란딘 생합성 경로의 중요한 효소로, 염증 반응을 매개하는 역할을 하며, 급성 췌장염 모델에서 과발현이 보고되었습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OX-2 억제제(cyclooxygenase-2 inhibitors)의 SAP 치료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하였습니다.

1. 본 연구는 급성췌장염 환자로 발병 후 1주 이내, APACHE II 점수 ≥7 또는 수정된 Marshall 점수 ≥2의 기준을 충족한 348명을 대상으로 하였습니다. 환자는 parecoxib(정맥주사) 3일 투여 후 imrecoxib(경구투여) 27일로 구성된 COX-2억제제 치료군과 위약군에 1:1로 무작위 배정되었습니다.
2. COX-2 억제제 치료군은 위약군에 비해 SAP 발생률이 20.7% 낮았으며(77.6% vs. 61.5%, p=0.001), 장기부전 지속기간이 2일 단축되었습니다(p<0.001).
3. COX-2 억제제는 조기(증상 발생 48시간 이내) 및 지연(48시간 이후) 등록 환자에서 각각23.8% (p=0.001), 8.5% (p=0.202)로 SAP 발생률 감소 및 각각3일 (p=0.001), 2일 (p=0.010)의 장기부전 지속기간 단축 효과를 보였습니다.
4. 국소 합병증 발생률 또한 COX-2 억제제 군에서 유의하게 낮았으며(33.7% vs. 49.1%, p=0.004), 염증 매개체(CRP, IL-6, IL-8, CCL2, CXCL16) 수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습니다.
5. 30일 사망률은 COX-2 억제제 군에서 위약군보다 낮았으며(3.4% vs. 8.6%, p=0.043), 병원 입원 기간과 치료 비용 또한 유의하게 감소하였습니다.
6. 심각한 이상반응 발생률은 두 군 간 차이가 없었습니다.

이 연구는 COX-2 억제제가 중증 급성췌장염의 발생을 감소시키고, 장기부전 지속기간을 단축하여 임상 예후를 개선하는 효과적인 치료법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증상 발현 48시간 이내 조기 치료가 보다 효과적이지만, 48시간 이후 치료에서도 이점이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향후 COX-2 억제제의 적용 대상과 적절한 치료 시점 확립을 위해선 추가 연구가 필요합니다.

논문 바로가기 ▶

Copyright© The Korean Society of Gastroenterology. All Rights Reserved.

06193 서울특별시 강남구 선릉로86길 31, 305호 (대치동, 롯데골드로즈빌I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