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대한소화기학회


교육자료

HOME 자료실 교육자료
자료실
[상부위장관] PPI 사용과 COVID-19 발병률 및 중증도와의 관계
유인경 / 차의과대 분당차병원 소화기내과 / 2021.10.01
PPI 사용과 COVID-19 발병률 및 중증도와의 관계
Severe clinical outcomes of COVID-19 associated with proton pump inhibitors: a nationwide cohort study with propensity score matching (Gut 2021 Jan;70(1):76-84)


Proton pump inhibitor(PPI)는 gastric parietal cell 의 H/K adenosine triphosphatase 를 비가역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산의 생성을 억제하는 특징을 갖고 있고, 역류성식도염이나 소화성 궤양 등 소화기 질환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약물입니다. 최근 PPI의 사용이 증가하고 위식도역류 질환에서 장기간 유지 요법이 필요한 경우가 많아 부작용과 관련된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높습니다. 이에 COVID-19 검사를 받은 환자에서 PPI 사용과 COVID-19 와의 연관성을 확인해보는 연구입니다.
결과는 그림과 같았습니다.

* Tested positive for SARS-COV2: 코로나 발병률
* Current PPI users: index date로부터 최근 PPI 사용 (최근 1개월 전후로 나눔)
* Past PPI users: index date로부터 과거 31-365일 PPI 사용
* Composite endpoint 1 of COVID-19: 코로나 감염자에서 중증도1 (산소치료, 중환자실 입원, 인공 호흡기 사용 또는 사망)
* Composite endpoint 2: 코로나 감염자에서 중증도2 (중환자실 입원, 인공 호흡기 사용 또는 사망)


1. 위산 억제제와 코로나 발병률
연구팀은 2020년 1월 1일부터 5월 15일까지 국내에서 코로나19 검사를 받은 18세 이상 성인 13만2316명을 대상으로 질병관리본부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최근 1개월 이내 PPI 사용 환자군, △과거 PPI 사용 환자군, △PPI 비사용 일반인 대조군으로 나누어 propensity score matching을 하였다. PPI사용과 COVID-19 감염률을 보았을 때 과거 또는 현재의 복용이 일반인보다 코로나 감염을 더 증가시키지는 않았습니다.

2. 위산 억제제와 코로나 감염의 중증도
COVID-19양성인 4785명의 환자를 다시 △최근 1개월 이내 PPI 사용 환자군, △과거 PPI 사용 환자군, △PPI 비사용 일반인 대조군으로 나누어 propensity score matching을 한 후 PPI가 COVID-19의 심각한 임상 결과 (composite endpoint 1: 산소치료, 중환자실 입원, 인공 호흡기 사용 또는 사망/ composite endpoint 2: 중환자실 입원, 인공 호흡기 사용 또는 사망) 를 보았을 때 최근 1개월 이내 PPI 사용 환자군은 코로나19 감염 시 composite endpoint 1가 63%, composite endpoint 2가 일반인보다 79% 정도 높았습니다. 반면 과거 PPI 사용 환자군은 코로나19의 감염률이나 코로나19 감염시 중증으로 악화되는것과 관련이 없었습니다.

[결론] 이번 연구는 코로나 확진자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대규모 임상을 통한 위산억제제인 PPI 사용과 코로나 감염에 대한 연관성을 처음으로 규명했다는 데 의의가 있습니다. PPI 복용이 일반인의 코로나19 감염 위험성을 높이지 않기 때문에 기존 역류성식도염이나 소화성 궤양으로 치료를 받는 환자의 경우 안심하고 치료 받아도 되지만 의료진은 기존 역류성식도염이나 소화성 궤양으로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가 코로나19 감염 시 이러한 약물을 사용하고 있지 않은지를 반드시 살펴보고 더욱 각별히 치료를 할 필요가 있습니다. PPI 사용에 따른 부작용에 대한 인지는 PPI 사용에 있어 적절한 적응증의 선택, 효과를 나타내는 최소용량 및 적절한 기간에 대한 중요성을 한 번 더 인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겠습니다.

논문 바로가기

TOP


Copyright© The Korean Society of Gastroenterology. All Rights Reserved.

06193 서울특별시 강남구 선릉로86길 31, 305호 (대치동, 롯데골드로즈빌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