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대한소화기학회


교육자료

HOME 자료실 교육자료
자료실
[하부위장관] 내시경 유닛 수준에서 샘종발견율 향상을 위한 방법: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조영석 / 가톨릭의대 서울성모병원 소화기내과 / 2023.12.01
내시경 유닛 수준에서 샘종발견율 향상을 위한 방법: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Endoscopy unit level interventions to improve adenoma detection rat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대장암은 암 연관 사망률의 주요한 원인이 되는 암으로 선별 대장내시경을 이용하여 샘종을 발견하고 절제함으로써 대장암 연관 사망률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선별 대장내시경 효율은 검사의 질에 크게 의존하는데, 샘종발견율(adenoma detection rate, ADR)은 가장 중요한 질지표로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샘종이 발견된 대장내시경 검사의 비율로 정의합니다. ADR은 내시경 의사들 간에 차이를 보이며, ADR이 낮을수록 대장내시경 후 대장암(PCCRC) 발생률 및 사망 위험이 더 높습니다. 폴란드 연구에서는 선별 대장내시경 검사 중 ADR이 20% 미만인 내시경 의사는 ADR이 20% 이상인 의사와 비교하여 중간암의 위험률이 10배 이상 높았습니다. 2014년 미국 연구에서는 ADR이 1% 증가할 때마다 PCCRC 위험이 3% 감소하고 대장암에 의한 사망 위험은 5%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하였습니다. ADR을 향상시키는 방법은 크게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첫째, 내시경 의사에게 널리 적용하며, 체계적 수준에서 시행할 수 있는 내시경 유닛 수준에서의 방법, 둘째, 내시경 술기 변화를 포함하며, 개별 내시경 의사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술기 지향적 방법, 셋째, 시각화를 향상시키기 위한 새로운 장치 또는 기구를 포함한 기술 기반 방법이 있습니다.


1. 본 연구는 1990년 1월부터 2022년 12월 기간에 ADR을 1차 유효성 평가변수로 하는 연구를 검색하였습니다. 34개 연구를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시행하였으며, 371,041 대장내시경검사 건수, 1501 내시경의사가 포함되었습니다. 내시경 유닛 수준에서 ADR을 향상시키는 방법에는 성적표(report card) 방법, 멀티 모달 방법, 관찰자 추가 및 회수 시간 모니터링 방법이 포함되었습니다.
2. 성적표 방법은 15개 연구(코호트 연구 13개, 무작위 대조연구 2개)를 대상으로 분석하였고, ADR (odds ratio [OR], 1.28; 95% confidence interval [CI], 1.13-1.45; P < 0.001)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습니다. 관찰자를 추가하는 방법은 4개 무작위 대조 연구를 대상으로 하였고, ADR (OR, 1.25; 95% CI, 1.09-1.43; P = 0.0015)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습니다.
3. 회수 기술, 적절한 시각화 및 폴립 발견을 위한 강의(4개 연구) 또는 핸즈온 코스(2개 연구)를 이용하는 멀티 모달 방법의 ADR 증가는 경계 영역의 유의성(OR, 1.18; 95% CI, 1.00-1.40; P = 0.051)을 보여 주었고, 회수 시간 모니터링 방법의 ADR (OR, 1.35; 95% CI, 0.93-1.96; P = 0.11)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습니다.
4. 이전 연구에서는 회수 시간이 길수록 ADR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는데, 이번 메타분석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던 점은 긴 회수 시간이 더 세심하게 관찰하는 내시경 의사를 위한 대리 지표(surrogate marker)로 회수 시간 자체 보다는 세심한 관찰이 ADR을 향상시켰다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 회수 시간 보다는 대변으로 덮여 있는 점막을 물로 닦고, 액체를 흡인하며, 주름 뒤를 잘 관찰하고, 반복 관찰하는 세심한 점막 관찰이 더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5. 결론적으로, 이번 연구에서는 내시경 유닛 수준에서 ADR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성적표 제시와 관찰자 추가 방법을 이용한 모니터링과 피드백이 중요하며, 이 방법들을 질 향상 프로그램에 포함시킬 것을 제안하였습니다.

논문 바로가기

TOP


Copyright© The Korean Society of Gastroenterology. All Rights Reserved.

06193 서울특별시 강남구 선릉로86길 31, 305호 (대치동, 롯데골드로즈빌Ⅱ)